※ 2019년 1월 자동차산업 월간동향입니다. 자동차산업 월간 동향 및 실적은 익월 3주차에 확인 가능하므로 12월 자료입니다.
본문 속 대부분의 그래프(표)는 제가 직접 제작한 자료이므로, 외부로 공유 시 출처에 대한 명기 부탁 드립니다.
아무쪼록 사내에서 보고에 목마른 이들에게 단비 같은 자료가 되길 바랍니다. :)
※ 주요자료출처: 한국자동차산업협회, 한국수입자동차협회, 무역협회.
1. 2018년 12월 실적
2018.12월 국내자동차산업 월간 실적은 신차 출시 효과 등으로 생산(24.2%), 내수(4.1%), 수출(22.6%)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잠정집계.
< 2018년 12월 자동차산업 총괄표>
구 분 |
2018년12월 |
전월비 |
전년동월비 |
2018년1월~12월 |
전년동기비 |
||
생 산 |
356,940대 |
-8.6% |
24.2% |
4,028,724대 |
-2.1% |
||
|
내 수 |
159,864대 |
-1.8% |
4.1% |
1,813,051대 |
1.1% |
|
국산차 |
138,009대 |
-0.4% |
5.3% |
1,532,191대 |
-0.7% |
||
수입차 |
21,855대 |
-9.5% |
-2.5% |
280,860대 |
12% |
||
|
수 출 |
219,313대 |
-7.8% |
22.6% |
2,448,641대 |
-3.2% |
|
(금액/억불) |
37.8 |
-4.8 |
27.2 |
409 |
-1.9 |
(1) 생산
스포츠 다목적 차량(SUV) 등 신차출시효과와 수출 증가, 전년 동월 생산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24.2% 증가한 356,940대 생산.
(2) 내수
신차 출시효과, 개별소비세 감면, 업계의 적극적인 마케팅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4.1% 증가한 159,864대 기록.
(3) 수출
신차 효과와 전년도 수출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, 친환경차 수요증가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22.6% 증가한 219,313대 기록.
(4) 친환경차
내수는 하이브리드카(HEV)의 판매 증가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19.3% 증가한 12,374대를 기록하였으며, 수출은 코나 전기자동차(EV) 판매가 본격화 되면서 전년동월대비 70.8% 증가한 22,933대 기록.
2. 2018년 실적
2018년 자동차산업 실적은 생산(▵2.1%)과 수출(▵3.2%)이 3년 연속 감소하였으며, 내수(1.1%)는 전년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잠정집계
< 2018년 자동차산업 실적 (단위:천대, 억불, %) >
구 분 |
2016년 |
2017년 |
2018년 |
||||
|
증감률 |
|
증감률 |
|
증감률 |
||
생산 |
4,229 |
-7.2 |
4,115 |
-2.7 |
4,029 |
-2.1 |
|
국내판매 |
1,825 |
-0.4 |
1,793 |
-1.7 |
1,813 |
1.1 |
|
|
국산차 |
1,573 |
1.0 |
1,543 |
-1.9 |
1,532 |
-0.7 |
|
수입차 |
252 |
-8.4 |
251 |
-0.5 |
281 |
12.0 |
수출 |
2,622 |
-11.8 |
2,530 |
-3.5 |
2,449 |
-3.2 |
|
|
자동차(금액) |
402 |
-11.2 |
417 |
3.8 |
409 |
-1.9 |
구 분 |
2015년 |
2016년 |
2017년 |
2018년 1∼11월 |
|||||
|
증감 |
|
증감 |
|
증감 |
|
증감 |
||
총 계 |
2,974 |
-2.9 |
2,622 |
-11.8 |
2,530 |
-3.5 |
2,229 |
-5.2 |
|
북 미 |
1,285 |
16.6 |
1,166 |
-9.3 |
1,043 |
-10.6 |
907 |
-6.4 |
|
|
미국 |
1,066 |
19.3 |
964 |
-9.6 |
845 |
-12.3 |
731 |
-6.5 |
유럽연합(EU) |
384 |
9.9 |
403 |
4.9 |
508 |
26 |
480 |
2.2 |
|
동유럽 |
71 |
-57.8 |
68 |
-4.2 |
96 |
40.6 |
125 |
39.6 |
|
|
러시아 |
44 |
-60.5 |
41 |
-6.8 |
58 |
41.9 |
85 |
54.1 |
중 동 |
542 |
-12.5 |
403 |
-25.6 |
330 |
-18.2 |
230 |
-25.6 |
|
중남미 |
285 |
-15.8 |
237 |
-16.8 |
198 |
-16.4 |
163 |
-11.6 |
|
아프리카 |
100 |
-32.9 |
65 |
-35 |
65 |
0 |
88 |
45.8 |
|
대양주 |
172 |
11.7 |
190 |
10.5 |
204 |
7.3 |
175 |
-7.9 |
|
아시아 |
134 |
-25.6 |
90 |
-32.8 |
87 |
-3.1 |
63 |
-22.7 |
구 분 |
2015년 |
2016년 |
2017년 |
2018년 |
||||
비중 |
증감률 |
비중 |
증감률 |
비중 |
증감률 |
비중 |
증감률 |
|
경 형 |
10.6 |
5.6 |
9.8 |
-18.0 |
9.5 |
-6.4 |
11.4 |
16.0 |
소 형 |
37.0 |
-8.3 |
33.6 |
-19.2 |
25.3 |
-27.6 |
20.1 |
-23.1 |
중형 |
6.1 |
-15.9 |
6.0 |
-12.9 |
5.9 |
-6.3 |
4.7 |
-23.0 |
대 형 |
2.6 |
-16.2 |
1.5 |
-48.4 |
2.5 |
61.1 |
2.7 |
2.1 |
SUV |
39.8 |
0.9 |
45.9 |
2.5 |
53.8 |
13.0 |
59.2 |
6.7 |
CDV |
3.9 |
18.2 |
3.1 |
-28.3 |
3.0 |
-6.2 |
2.0 |
-35.7 |
승용차 |
- |
-3.4 |
- |
-11.2 |
- |
-3.6 |
100.0 |
-3.1 |
(3) 내수
신차효과, 개별소비세 인하, 수입차 업계의 적극적 마케팅 등으로 인해 전년대비 1.1% 증가한 1,813천대 기록.
(3)-1 국산차
스포츠다목적차량(SUV) 판매량 증가에도 불구하고, 경차시장 위축, 소·중·대형 세단의 수요감소 등으로 인해 전년대비 0.7% 감소한 1,532천대 판매.
구분 |
경형 |
소형 |
중형 |
대형 |
SUV |
CDV |
2016년 |
12.9 |
13.7 |
17.0 |
16.1 |
33.8 |
6.5 |
2017년 |
10.7 |
12.2 |
15.6 |
19.6 |
35.6 |
6.4 |
2018년 |
9.8 |
12.1 |
13.2 |
18.5 |
40.1 |
6.4 |
구 분 |
18.12월 |
|
18.1-12월 |
증 감 률 |
|
||
점유율 |
전월비 |
전년동월비 |
전년동기비 |
||||
합 계 |
356,940 |
100 |
4,028,724 |
-8.6 |
24.2 |
-2.1 |
|
현 대 |
162,808 |
45.6 |
1,747,832 |
-4.6 |
64.4 |
5.8 |
|
기 아 |
130,471 |
36.6 |
1,469,415 |
-12.1 |
11.9 |
-3.5 |
|
한국지엠 |
35,251 |
9.9 |
444,816 |
-7.7 |
-10.4 |
-14.4 |
|
쌍 용 |
13,235 |
3.7 |
142,138 |
-7.5 |
11.3 |
-2.2 |
|
르노삼성 |
14,547 |
4.1 |
215,704 |
-21.5 |
-26.1 |
-18.3 |
|
대우버스 |
273 |
0.1 |
2,127 |
38.6 |
-0.7 |
-12.6 |
|
타타대우 |
355 |
0.1 |
6,692 |
1.4 |
-22.7 |
-29.4 |
|
4. 12월 자동차 내수 판매 동향
신차 출시효과, 개별소비세 감면, 업계의 적극적인 마케팅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4.1% 증가한 159,854대 기록
(1) 현대
신형 싼타페와 제네시스 G90, 팰리세이드, 코나 등 대형승용과 SUV의 호조로 21.5% 증가
(2) 기아
경차시장 위축, 쏘렌토·스포티지 등 SUV 모델의 부진으로 9.3% 감소
(3) 한국지엠
주력차종인 스파크의 판매 증가에도 불구하고 말리부의 판매 부진 등으로 12.0% 감소
(4) 쌍용
렉스턴스포츠의 판매 호조로 전년동월수준을 유지(0.1%↑)하였으며, 월단위 연중 최대 실적 기록
(5) 르노삼성
주력모델인 QM6의 판매 호조(8개월 연속 증가)로 8.6% 증가
(6) 수입차
폭스바겐·아우디는 판매가 소폭 증가하고 있으나, BMW의 화재여파로 인한 판매부진 등으로 2.5% 감소.
수입차 점유율 : (’17.12) 16.6% → (‘18.12) 13.7%
구 분 |
18.12월 |
18.1-12월 |
증 감 률 |
|
||
전월비 |
전년동월비 |
전년동기비 |
||||
내수판매 |
159,864 |
1,813,051 |
-1.8 |
4.1 |
1.1 |
|
현 대 |
64,835 |
721,100 |
1.1 |
21.5 |
4.7 |
|
기 아 |
42,200 |
531,700 |
-13.3 |
-9.3 |
1.9 |
|
한국지엠* |
10,428 |
93,317 |
25.7 |
-12 |
-29.5 |
|
쌍 용 |
10,656 |
109,140 |
3.2 |
0.1 |
2.3 |
|
르노삼성* |
10,805 |
90,369 |
28.5 |
8.6 |
-10.1 |
|
대우버스 |
202 |
2,015 |
2 |
-19.5 |
-18.1 |
|
타타대우 |
288 |
4,705 |
-10.3 |
-45.9 |
-38.6 |
|
수 입 차 |
21,855 |
280,860 |
-9.5 |
-2.5 |
12 |
5. 12월 자동차 수출 동향
신차 효과와 전년도 수출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, 친환경차 수요증가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22.6% 증가한 219,313대 기록.
(1) 현대
코나·투싼·싼타페 등 SUV와 코나EV·아이오닉HEV 등 친환경차의 호조로 65.9% 증가
(2) 기아
신차 쏘울 부스터를 비롯한 SUV와 경소형차(모닝, K3 등)의 증가로 21.7% 증가
(3) 한국지엠
스파크의 부진, 일부모델 생산중단 등으로 6.6% 감소
(4) 쌍용
렉스턴스포츠의 호조에도 불구하고 유럽·중동지역으로의 경유차 수출 부진이 이어지며 1.1% 감소
(5) 르노삼성
닛산-로그(OEM 수출 모델)의 미국 수출 감소 등으로 53.8% 감소
구 분 |
18.12월 |
|
18.1-12월 |
증 감 률 |
||
점유율 |
전월비 |
전년동월비 |
전년동기비 |
|||
합 계 |
219,313 |
100 |
2,448,641 |
-7.8 |
22.6 |
-3.2 |
현 대 |
91,032 |
41.5 |
995,898 |
-7.4 |
65.9 |
3.3 |
기 아 |
85,500 |
39 |
911,554 |
-10.6 |
21.7 |
-4.9 |
한국지엠 |
31,360 |
14.3 |
369,370 |
1.3 |
-6.6 |
-5.9 |
쌍 용 |
3,521 |
1.6 |
32,855 |
30.4 |
-1.1 |
-11.2 |
르노삼성 |
7,657 |
3.5 |
137,216 |
-24.9 |
-53.8 |
-22.2 |
대우버스 |
1 |
0 |
76 |
- |
- |
43.4 |
타타대우 |
242 |
0.1 |
1,672 |
65.8 |
108.6 |
-3 |
6. 12월 친환경 자동차 동향 (내수/수출)
(1) 내수.
그랜저 HEV와 코나 EV, 수입 HEV 등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친환경차 내수가 전년동월대비 19.3% 증가.
수입차를 포함한 전체 실적이 3개월 연속 1만대를 돌파하며 12월 승용차 내수 판매량의 8.9% 차지.
< ’18.12월 차종별 내수 현황(단위 : 대, %) >
구 분 |
18.12월 |
|
18.1-12월 |
증 감 률 |
|
||
점유율 |
전월비 |
전년동월비 |
전년동기비 |
||||
합 계 |
12,374 |
100 |
123,601 |
-21.7 |
19.3 |
26.3 |
|
HEV |
10,650 |
86.1 |
92,530 |
-9.7 |
20.4 |
10.3 |
|
EV |
1,483 |
12 |
29,632 |
-60.7 |
0.3 |
118.8 |
|
PHEV |
101 |
0.8 |
695 |
46.4 |
114.9 |
90.9 |
|
FCEV |
140 |
1.1 |
744 |
-12.5 |
- |
1,119.70 |
구 분 |
18.12월 |
|
18.1-12월 |
증 감 률 |
|
||
점유율 |
전월비 |
전년동월비 |
전년동기비 |
||||
합 계 |
22,933 |
100 |
195,361 |
-0.5 |
70.8 |
10.1 |
|
HEV |
13,497 |
58.9 |
138,216 |
-15.7 |
28.9 |
-5.3 |
|
EV |
7,899 |
34.4 |
38,523 |
86.9 |
479.1 |
128.8 |
|
PHEV |
1,504 |
6.6 |
18,395 |
-46 |
-5.3 |
26.1 |
|
FCEV |
33 |
0.1 |
227 |
57.1 |
- |
44.60 |
-끝-